성공사례

형사

[구속영장청구기각] 모친 명의의 전세계약 보증금 미 반환으로 사기죄로 고소당한 사건

2025-07-30

안녕하세요 대한변호사협회 인증 형사법 전문 한기수 변호사입니다.

 

부동산 가격이 하락하면서 부동산과 관련된 각종 민형사 사건들이 많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전세사기와 유사한 사건과 관련하여, 피의자가 긴급 체포되었고 구속영장청구까지 된 사안을 소개해 드리고자 합니다.

 

 

 

기초 사실관계

 

피의자의 남편 어머니 명의로 아파트를 소유하고 있었는데, 전세 만기 때 세입자에게 보증금을 돌려주지 않았습니다. 무슨 이유에서인지 경찰은 부부를 긴급체포하였고, 구속영장이 청구되었습니다.

 

부동산 사기 관련, 구속영장청구 기각! 이미지 1


 

 

 

한기수 변호사의 조력
 

구속 상태에서 수사와 재판을 받는 것과 불구속 상태에서 받는 것은 정말 하늘과 땅 차이만큼이나 피의자에게는 너무나 중요한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최대한 피의자가 불구속 상태에서 수사와 재판을 받을 수 있도록 조력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구속 전 피의자심문기일에 참여하여 크게 3가지를 강조하였습니다.

 

(1) 이 사건은 여타의 부동산 사기나 전세 사기와 같이 수십건의 부동산이 연루된 사건이 아니라 단 1건의 매매계약과 관련된 사안인 점을 강조하였습니다. 즉, 구속영장이 청구될만한 사건이 아니라고 주장하였습니다.

 

(2)그 다음으로는 구속영장청구서 상의 범죄사실이 법리에 맞지 않는다고 주장하였습니다. 수사기관에서는 범죄사실을 매매대금을 편취하였다고 기재하였으나 영장청구서 뒤쪽에 보면 보증금을 편취하였다거나 전세사기와 같은 문구가 있었습니다. 즉, 범죄사실 자체가 구체적으로 특정되지 않은 것입니다.

 

(3) 설사 매매대금을 편취한 것으로 범죄사실을 구성하더라도 매수인에게 소유권이전등기가 경료된 이상 사기 혐의에 대해 다툼의 여지가 다분하다는 점 역시 강조하였습니다.

 

 

 

조력의 결과

 

조력의 결과 영장은  기각되었고, 구속 전 피의자심문기일 저녁, 피의자는 석방되었습니다.

 

부동산 사기 관련, 구속영장청구 기각! 이미지 2


 

 

구속 전 피의자심문에서 가장 중요한 건?!

 

구속 전 피의자심문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판사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게 무엇일지 생각하는 것입니다.

 

만약에 판사가 피의자를 구속하였는데(영장청구를 인용), 나중에 재판에서 피의자가 무죄를 받으면 어떨까요. 이것이 판사가 가장 두려워하는게 아닐까요? 판사는 무죄인 피의자를 구속한거니깐요.

 

그렇기 때문에 구속영장이 청구되면 가장 중점으로 다뤄야 하는건 범죄사실 그 자체입니다. 범죄사실에 다툼의 여지가 다분하다는 것을 법리적으로 풀어서 설명해야, 판사 입장에서는 무죄를 받을 수 있는 피의자를 구속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통상 구속영장청구의 요건 중, 증거인멸의 우려나 도망의 우려가 있는데 정말 특별한 사정이 없다면 이 부분은 주요 쟁점이 될 수는 없다고 보입니다.)

 

e0faf54aeb664808286abcc4da7610838c41eb84i5bd.png

담당변호사

상담문의

X

개인정보처리방침

법률사무소 한(https:///주소 이하 법률사무소 한)은(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목적)

법률사무소 한 (이)가 개인정보 보호법 제32조에 따라 등록․공개하는 개인정보파일의 처리목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개인정보 파일명 : 인적사항
개인정보의 처리목적 : 법률 서비스 제공
수집방법 : 생성정보 수집 툴을 통한 수집, 전화/팩스, 서면양식, 홈페이지
보유근거 : 통신비밀보호법 등
보유기간 : 준영구
관련법령 : 표시/광고에 관한 기록 : 6개월, 계약 또는 청약철회 등에 관한 기록 : 5년,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신용정보의 수집/처리 및 이용 등에 관한 기록 : 3년

제2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인적사항

필수항목 : 이름, 휴대전화번호, 접속 로그, 상담신청 절차에서 발생된 정보
선택항목 :

제3조(개인정보의 파기절차 및 파기방법)

법률사무소 한 은(는) 개인정보 보유기간의 경과, 처리목적 달성 등 개인정보가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지체없이 해당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개인정보 파기의 절차 및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파기절차
법률사무소 한 은(는) 파기 사유가 발생한 개인정보를 선정하고, 법률사무소 한의 개인정보 보호책임자의 승인을 받아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파기방법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합니다

제4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방법에 관한 사항)

① 정보주체는 법률사무소 한에 대해 언제든지 개인정보 열람·정정·삭제·처리정지 요구 등의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② 제1항에 따른 권리 행사는 법률사무소 한에 대해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41조제1항에 따라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등을 통하여 하실 수 있으며 법률사무소 한 은(는) 이에 대해 지체 없이 조치하겠습니다.
③ 제1항에 따른 권리 행사는 정보주체의 법정대리인이나 위임을 받은 자 등 대리인을 통하여 하실 수 있습니다.이 경우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제2020-7호)” 별지 제11호 서식에 따른 위임장을 제출하셔야 합니다.
④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4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습니다.
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습니다.
⑥ 법률사무소 한 은(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합니다.

제5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에 관한 사항)

법률사무소 한 은(는)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조치를 취하고 있습니다.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개인정보의 안전한 처리를 위하여 내부관리계획을 수립하고 시행하고 있습니다.

제6조(개인정보를 자동으로 수집하는 장치의 설치·운영 및 그 거부에 관한 사항)

① 법률사무소 한 은(는) 이용자에게 개별적인 맞춤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②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 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용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가. 쿠키의 사용 목적 : 이용자가 방문한 각 서비스와 웹 사이트들에 대한 방문 및 이용형태, 인기 검색어, 보안접속 여부, 등을 파악하여 이용자에게 최적화된 정보 제공을 위해 사용됩니다. 나.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웹브라우저 상단의 도구인터넷 옵션개인정보 메뉴의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저장을 거부 할 수 있습니다. 다. 쿠키 저장을 거부할 경우 맞춤형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제7조 (개인정보 보호책임자에 관한 사항)

법률사무소 한 은(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성명 : 한보라, 한기수
직책 : 대표변호사
직급 : 대표변호사
연락처 : 02-588-9021, 02-533-9234
메일주소 : leehae@lawlh.co.kr, gshan@lawlh.co.kr

​제9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 (www.kopico.go.kr)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 (privacy.kisa.or.kr)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개인정보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 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제10조(개인정보 처리방침 변경)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5년 04월 09일부터 적용됩니다